본문 바로가기
강의,생각 : 돈, 투자, 성공, 부자, 자기계발, 잠재의식

돈의 끌어당김의 법칙, 리스크란? 리스크에 대한 오해

by 태도가 전부다 2022. 9. 11.
반응형

돈은 중력의 힘을 가졌다.

돈은 서로가 서로를 끌어당깁니다. 그리고 그 무게가 크면 클수록 중력의 힘이 쎄져서 더욱 멀리에 있는 돈까지도 끌어당길 수 있습니다.

(25) 돈은 다른돈에게 영향을 주며 그 돈의 액수가 크면 클수록 다른 돈에 영향을 준다. 돈은 가까이에 있는 돈을 잡아당기는 능력이 있으며 주변 돈에 영향을 준다.

물리학이 돈에게도 적용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 부분입니다. 물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중력이 아주 가벼운 지폐, 그리고 계좌에 적힌 숫자들, 은행어플에 찍혀있는 잔고에게까지도 적용된다는 사실입니다.

  큰 돈은 작은돈들을 반깁니다. 왜냐하면 그 돈의 주인이 작은 돈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갖고 있으면, 작은돈을 소중히 여겨, 그것을 모아 큰돈이 되게 합니다. 그 돈의 주인의 마음이 끌어당김의 법칙이 작용하고 있고 물리학의 법칙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중력은 보이든, 보이지 않은 작용합니다. 공기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중력의 적용은 받고 있으니까요. 마찬가지로 돈도 실제로 동전과 지폐가 아니어도 계좌잔고에 단순히 숫자로 찍혀있어도 중력의 적용을 받고있습니다.

(26) 재산증식과정을 보면 1, 2, 3, 4, 5처럼 양의 정수(자연수)로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1, 2, 4, 8, 16과 같이 배수로 늘어난다. 온 우주에 중력의 힘이 미치고 있듯 중력은 우주의 근본적인 힘이며 세상을 만드는 원리중 하나다. 이 원리는 무엇인가 불어나는 모든 것에 적용된다. 단지 돈은 물체가 아니기에 그것을 모으겠다는 사람 그 자신의 마음을 필요로 할 뿐이다.

내가 돈을 모으겠다는 생각을 하고 그것에 대해서 우주에 소망할때 끌어당김의 법칙이 작용하게 되고, 그것이 그 사람의 마음이 되고 계획을 하고 실천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리스크가 클 때가 리스크가 가장 작을 때다.

(27) 전체자산이 오르고 있는데도 손해를 보는 이유는 내가 가진 시간이 모자라거나 내가 투자한 돈의 질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주변에서 투자를 하는 사람들 중에 내가 가진 돈의 소비생명력이 얼마나 되는지를 모르는 경우가 있어서 낭폐를 보는 경우를 보았습니다. 그래서 주변에서 주식투자를 한다는 사람이 있다면, 저는 그 돈의 출처와 소비생명력부터 고민해서 보내달라고 합니다.

(28) 보통 변동성이 큰 시장이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하지만 변동성에 따라 기대수익이 달라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사실 리스크가 크다고 알려진 것 자체가 리스크를 줄여놓은 상태라는걸 알아차리는 사람이 별로 없다.

변동성과 리스크가 다르다는 사실을 깨달아야합니다. 주변에서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얘기하면 그것은 실제로 주가가 많이 떨어져서 리스크가 눈에 크게 보이는 과거의 사실을 말해주는것입니다. 시점의 차이고 관점의 차이가 있는것이지요. 투자의 하수는 과거의 주가차트를 보고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생각하지만, 투자의 고수는 현재의 모습과 미래의 모습을 생각합니다. 따라서 바라보는 시점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29) 리스크가 무서워 아무도 매입하지 않는 순간이 리스크가 가장 적은 순간이 되는것이다.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을때, 주변에서 주식투자에 관한 이야기가 들려오지 않고, 나 혼자만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을때, 그리고 주변에서 더 떨어질까봐 너무 무서워서 공포심에 매수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때, 그게 주가의 바닥부근이라는 사실을 알 수가 있습니다. 저 역시 같은 경험을 했습니다.

(30) 평균 10년에 한번, 평균 30% 하락과 같은 용어는 리스크를 이해하는데 가장 방해가 되는 데이터다.

과거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바라보는것도 아닌 평균으로 바라보면서 현재와 미래의 리스크를 예측하고 바라본다는 것은 주주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리스크에 대한 이해를 바로 잡으려면 과거 기간의 평균과 과거 기간의 하락률을 바라보는것이 아닌 기업의 리스크를 낱낱이 분석하는것이 리스크에 대한 이해일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