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3월 3일 = 연준, 기준금리 1.00∼1.25%로 0.5%포인트 전격 인하 발표. 3월 18일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 앞서 2일 밤 화상회의를 통해 만장일치로 결정.
▲ 2020년 3월 15일 = 연준, 기준금리 0.00∼0.25%로 1%포인트 인하해 '제로 금리' 단행. 7천억 달러 규모의 미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 매입 결정해 양적완화 돌입.
▲ 2020년 3월 17일 = 연준, 기업어음매입기구(CPFF) 설치 결정. 기업어음(CP)을 사들여 기업들에 유동성 공급한다는 취지.
▲ 2020년 3월 17일 = 재무부, 연준의 '프라이머리 딜러 신용창구'(PDCF) 도입 승인. 주요 투자은행과 증권사 등 대형 금융기관 24곳에 저금리로 최대 90일까지 대출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 2020년 3월 18일 = 연준, '머니마켓 뮤추얼펀드 유동성 지원창구'(MMLF) 도입. 머니마켓 뮤추얼펀드(MMMF)에 대한 환매 요구가 급증하자 연준이 MMMF로부터 자산을 매입하는 은행에 자금을 대출해주기로 한 것.
▲ 2020년 3월 23일 = 연준, 미 국채와 MBS를 "필요한 만큼" 매입하겠다며 무제한 양적완화 선언. '프라이머리 마켓 기업 신용 기구'(PMCCF), '세컨더리 마켓 기업 신용 기구'(SMCCF), '자산담보부증권 대출 기구'(TALF) 등 설치해 기업과 가계 지원하기로 결정.
▲ 2020년 4월 9일 = 연준, 최대 2조3천억 달러 규모의 유동성 투입 방침 발표. '메인스트리트 신규 대출 기구'(MSNLF), '메인스트리트 확장 대출 기구'(MSELF), '급여보호프로그램'(PPP) 등의 비상 기구를 가동해 회사채 시장 안정화와 소비자 금융 지원한다는 내용.
▲ 2020년 8월 27일 = 연준, 평균물가안정 목표제 도입. 물가상승률 목표를 '장기 평균 2%'로 수정함으로써 일정 기간 2%를 초과하더라도 금리 인상을 하지 않겠다는 의도.
▲ 2021년 5월 19일 = 4월 FOMC 정례회의에서 테이퍼링 논의 가능성을 처음 언급한 것으로 확인. 이날 공개된 의사록에 "몇몇 참석자는 향후 회의들 중 언젠가 자산매입 속도 조정 계획에 대한 논의 시작이 적절할 수 있다고 의견을 밝혔다"고 명시됨.
▲ 2021년 8월 18일 = 7월 FOMC 정례회의에서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 시사한 것으로 확인. 이날 공개된 의사록에 "대부분의 참석자가 올해 자산매입 속도를 줄이기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고 기재됨.
▲ 2021년 8월 27일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잭슨홀 연례 심포지엄에서 연내 테이퍼링 지지 발언.
▲ 2021년 10월 13일 = 9월 FOMC 정례회의에서 11월 중순 또는 12월 중순 테이퍼링 시작을 전망했다는 사실이 이날 공개된 의사록을 통해 확인됨.
▲ 2021년 11월 3일 = 11월 FOMC 정례회의 후 이달부터 테이퍼링 시작 발표
'미국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시장에서 13년동안 7월달은 상승하였습니다. (0) | 2023.07.03 |
---|---|
20살부터 월 100만원씩 투자 vs 31살부터 월400만원씩 투자 (0) | 2023.06.28 |
fomc 결과, fomc 연설, fomc 요약, 파월, 2월 fomc, fomc 금리인상, fomc 정리, fomc 내용, fomc 기자회견 (0) | 2023.02.02 |
주식투자 잘하는법, 부동산투자 잘하는법, 사업(장사) 잘하는법, 부자되는법은 2차적 사고를 연습해야합니다. (0) | 2023.01.25 |
키움증권 환차손익 표시예정소식 (0) | 2023.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