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qqq투자하는 해리 유튜브

나스닥100, tqqq 강세장2년차 투자계획

by 태도가 전부다 2024. 1. 2.
반응형

안녕하세요 tqqq를 월투자금 400만 원의 100배 금액인 4억 원까지 매수하는 해리입니다.
먼저 좋아요 부탁드리고, 댓글로 소통하면서 더욱 발전적인 채널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매 영상마다 새로운 시청자의 유입이 있어서 당분간 자주묻는 질문 혹은 제 채널의 방향성을 앞부분에 넣으려고 합니다.
보시는 것처럼 tqqq 투자계획은 4억 원까지 매수, 8억 원까지 보유, 8억 원 이후 매도하려고 합니다. 이것이 현재까지 투자의 기준이 되어있습니다.
시장의 속도는 누구나 예측할 수 없으므로 언제든 빠르게 과열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중간에 시장이 과열이라고 판단될시 리밸런싱을 할 예정입니다. 
4억 원까지 매수하는 과정에서, 강세장에서는 원칙적으로 일괄매수, 예외적으로 분할매수를 하고, 하락장에서는 원칙적으로 분할매수, 예외적으로 일괄매수를 합니다.
저의 투자선생님은 앙드레코스톨라니, 하워드막스, 켄피셔, 존 보글, 찰스엘리스, 토니로빈스 등이 계십니다.
오늘은 강세장 2년차에서 어떻게 투자를 해야 할까에 대한 고민으로 공부한 것을 가져왔습니다.
오늘 영상은 매우 중요하고, 건너띄기를 하시면 이해하기가 조금 어려우실 수 있으니 천천히 봐주시길 바랍니다. 그래도 이해하실 수 있게 천천히 설명을 잘했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걱정스러운 마음에 말씀드리는 것이지만, 모든 투자는 각자 개인의 책임입니다. 오늘 영상은 저만의 계획을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받아들이고 활용하시는 것은 개인의 몫입니다. 


위 표는 나스닥100의 연간 수익률을 나타낸 표입니다. 
-20% 이하으로 마감하였을 때 연한 분홍색으로 표시하였고요. -20% 이상으로 마감하면 진한 빨간색으로 표시했습니다.
가장 먼저 보시면 아시겠지만 1985년부터 2023년까지 약 39년동안 -10% 이상으로 하락마감한 적이 4차례뿐입니다. 
그중 한 번이 2022년 하락장입니다. 어마어마하게 무시무시한 하락장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자료를 만들면서도 감탄이 나왔습니다.
자 이제 우선, 저는 강세장 1년 차에서 당연히 일괄매수를 진행해 왔습니다. 왜냐하면, 과거 통계상 폭락장 이후 시작된 강세장 1년 차에서는 높은 확률로 엄청난 상승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천천히 표를 읽어내려가보겠습니다. 우선 가장 먼저 보셔야 할 것이 노란색 1번의 첫 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나스닥 100은 85년도부터 있습니다.  
s&p500 기준으로는 82년도부터 강세장 1년차이기 때문에 이미 85년도는 강세장 4년 차입니다.
그래서 참고할때는 노란색 2번부터 보겠습니다.
강세장 1년 차 1991년에는 약 65% 상승하였습니다.
노란색 3번 2003년에는 49% 상승하였습니다.
노란색 4번 2009년에는 53% 상승하였습니다.
노란색 5번 2023년에는 약 54% 상승하였습니다.
따라서 강세장 1년 차에는 투자가능한 모든 돈을 일괄매수하는 것이 좋은 판단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게 폭락장이 끝나고 강세장1년차를 시작한 것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또한, 지난 폭락장에서 많은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아직 많은 비관론이 남아있기때문에 
투자자가 투자가능한 돈을 일괄매수하는것을 두려워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현명한 투자자와 소신파투자자는 예리한 감각으로 강세장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느끼는 순간이 있을 것입니다. 
그때 투자가능한 돈을 매수한 후 강세장 1년차를 편안히 누리면 되는 것입니다.
강세장 1년 차의 수익률은 다른 연도의 수익률보다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이 시기를 놓친 투자자는 그저 그런 수익률을 누리게 됩니다.
그래서 1배수 지수추종 패시브 투자하시는 분들이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시는 이유가 바로 그 이유입니다. 
샀다 팔았다 하게 되면 강세장1년차를 놓치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이 알고 계신 상식중에 spy에 투자하면 연평균수익률 10%이다.라는 것은 반드시 강세장 1년 차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폭락장 이후의 강세장 1년 차를 놓치게 되면 연평균수익률이 꽤 크게 떨어질 것입니다.
이 사실을 처음 아신 투자자분들은 마음속 깊이 간직하고 몸으로 체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지난 하락장을 놓쳤고, 강세장1년차를 놓쳤기 때문입니다.
투자는 실전이니 책을 볼 필요없다는 말은 거짓입니다. 또한, 투자를 책만 보고서도 하면 안 됩니다. 실전투자와 독서와 역사공부와 심리공부를 병행해나가야 합니다. 
역사를 공부하고 심리책을 읽고 통계를 공부하는것은 투자에 있어서 꽤 큰 도움이 됩니다. 
제가 드리는 말씀이 아니라, 여러분들이 아시는 모든 대가들이 하신 말씀들입니다. 
또한, 이 사실을 알면서도 매수후 보유하지 않고 매매하고 사고팔면서 시장에 들락날락한 투자자분들께서도 스스로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지금 연말, 연초에 인스타그램과 뉴스 혹은 유튜브에서 계좌인증을 보면 강세장1년차에 손실인증을 하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그 투자자분들은 위 사실을 몰랐거나, 알았더라도 단기적인 이익에 마음의 욕심이 커져서 실천하지 않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이 일치되는 것. 즉, 지행합일이 되는 것은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해 내내 흔들리셨던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사실을 기억하고 다음 폭락장과 강세장 1년 차에서는 반드시 모든 수익을 가져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연평균수익률은 왜곡되어있기 때문입니다.
강세장 1년 차 2023년 중 12개월 중 제가 월급 받으면 즉시 산 개월수가 10개월 정도 됩니다. 8월 9월을 조금 느긋하게 매수했습니다. 
주변에서 왜 그렇게 비싸게 사냐고 말을 해도, 제 소신껏 투자했습니다. 왜냐하면 향후 몇 년간 이 가격이 오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지요. 
그분들께 제가 지금 매수하는 이유를 말씀드려도 조정을 기다리셨습니다. 저는 조정이 오더라도 깊지 않을것이라 생각했고, 공포 없이 매수했습니다. 
또한, 포모도 없었습니다. 어차피 더 상승여력이 존재한다는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올라가는 tqqq 주가에 대해 추가매수하는 것도 겁내지 않았습니다.
이제 강세장2년차입니다. 강세장 2년 차는 강세장 1년 차보다 수익률이 현저히 줄어들지만 그래도 꽤 높은 수익률을 보입니다. 
따라서 저는 강세장2년차에는 기대수익률을 10% 에서 20% 정도 잡고 있습니다. tqqq 기준으로는 추가상승 30%에서 약 70%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2023년 연말 tqqq가격 50달러 기준으로 30%에서 70% 추가 상승한다면 65달러에서 85달러까지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제가 스스로 만들고 공부한 다른 자료에 의하면 80달러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 보시는 자료는 제가 직접 보기좋게 만든 자료이기는 하지만, 누구나 이 정도 자료는 시간만 들인다면 만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가 직접 시간을 들여서 만들어서 공유하면 여러분들 한분 한분의 시간을 아낄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강세장 1년차를 놓쳤다고 해서 너무 낙심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강세장은 꽤 길기 때문입니다. 
저는 남은 연도의 수익률을 온전히 가져가겠다고 마음을 먹을 생각입니다.
하지만, 예전에 말씀드렸을듯이 강세장이 진행됨에 따라 리스크가 증가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남은 연도의 수익률을 가져갈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신으로 매수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이 자료를 본다면, 폭락장과 강세장1년차에서 매수하면 되겠구나 하고 편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여기서 끝이 나면 안됩니다. 다음 자료를 보겠습니다. 


조정장과 mdd를 추가한 자료입니다.
1997년, 1999년, 2012년, 2018년, 2020년 연도 옆에 x번은 1년 내에 기간을 두고 발생한 조정의 횟수입니다. 2번 혹은 3번까지도 발생합니다.
또한, 연간 수익률이 플러스였어도, 그해에 거의 매년 조정장이 있었습니다.
투자자들이 통계를 공부해야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이전 자료에서는 이제 강세장1년차가 됐으면 나머지 해를 매수 후 보유만 잘하면 되겠구나 싶지만, 
하지만, 조정장이 거의 매년있고 어떤 해에는 2번, 혹은 3번까지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조정장이 폭락장으로 변질될것인지 그냥 단순한 조정장으로 끝나게 될 것인지 모르기 때문에 
공포심에 매도하게 되는 실수를 저지를 수 있습니다.
또한, mdd는 폭락장, 조정장에서의 최대하락폭입니다. 연간수익률과는 다릅니다. 우선 진한 빨강색연도를 보겠습니다.
1987년, 1998년, 2020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연중에 -20%가 넘는 폭락장이 찾아왔음에도, 연간수익률이 플러스로 전환했었습니다. 
1987년은 블랙먼데이 약 3주동안 -41% 하락을 한 사건입니다.
1998년은 러시아와 아시아금융위기가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미국의 문제가 아니었기 때문에 연중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2020년은 코로나로 여러분들이 모두 아시는 사건입니다. 
약 한달동안 -30% 폭락이 있었지만, 빠르게 회복하여 오히려 높은 수익률로 전환되었습니다.
추가로 2018년은 -23%의 폭락장이 찾아왔지만, 플러스로 전환되지는 못하고 많은 부분을 회복하여 -1% 정도로 한해를 마감했습니다.
1990년은 mdd가 -33%이지만, -10%로 회복하고 연간수익률을 마감했습니다.
2000년, 2001년, 2002년 닷컴버블 하락장 총 mdd는 -83%입니다. 그중 연간수익률은 각각 -37%, -33%, -37%씩 하락했습니다.
2008년은 mdd가 -54%이고, 연간수익률은 -42%로 마감했습니다.
2022년은 mdd가 -37%이고 연간수익률은 -33%로 마감했습니다.
이 자료를 만들면서 저는 현명한 투자자가 폭락장에서 매수를 완료한 후에 
강세장의 긴 기간동안 온전한 수익률을 누리고 폭락장 이전에 매도를 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도 찾아보니 강세장2년차에 폭락장이 온 적이 없었습니다. 최소 2년은 강세장이 유지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저는 올해까지는 안심하고 매수를 할 생각입니다. 중요한건 2025년부터입니다. 그때부터는 조정장이 폭락장으로 변질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여기서 또 멈출 수 없죠. 저는 tqqq 투자자이기에 tqqq 자료도 확인해봐야 합니다. 다음 자료를 보겠습니다.
우선 이 표는 TQQQ를 추가하였기때문에, 2010년도 자료부터 보시면 됩니다.
나스닥100 연간수익률과, 나스닥 100폭 락시 MDD와 나스닥 100의 조정을 구분했습니다. 조정이 2번이 있을 경우도 있어서, 조정 1과 조정 2를 넣었습니다.
그다음 나스닥100이 폭락했을 때의 TQQQ 폭락 시의 MDD를 적은 곳입니다. 찐한 빨강으로 표시했습니다.
이제 이 부분이 조금 어려우실 수 있는데요. 조정시 MDD를 적은 칸입니다. 
또는 조정속에서 여러 번의 파동이 있기 때문에 그 조정 속에서 받아들여야 하는 모든 변동성을 적었습니다. 
또는 폭락속에서 여러 번의 파동이 있기 때문에 그 폭락 속에서 받아들여야 하는 모든 변동성을 적었습니다.
이해를 위해서 차트를 가져오겠습니다.
2010년도 TQQQ의 차트입니다. 이 조정은 한번의 조정이지만, MDD는 -47%입니다. 
또한 그 속에서 여러번의 추가적으로 3번의 하락이 존재합니다. 각각 -31%, -33%, -25%로요. 
따라서 2010년에 -47%, -31%, -33%, -25%를 적었습니다.
MDD는 한번뿐이지만, 실제로 우리가 감당해야 하는 모든 하락분의 변동성을 넣은 것이지요.
2011년도는 정말 무시무시하게 변동성이 심했습니다. 차트를 보여드리겠습니다.
하나의 조정이지만, 그 속에서의 -20%가 넘는 변동성이 정말 많이 존재합니다.
이 표는 이런 모습들을 담아놓은것입니다.
2022년 차트를 마지막으로 가져오겠습니다.
2022년을 tqqq로 겪으신 투자자분들이 정말 힘들었던 이유가 바로 이 이유입니다.
코로나때와는 다르게 변동성이 계속 있었기 때문입니다. 
-47%, -38%, -26%, -60%, -39%, -59%, -22%, -34% 까지 총 8번의 -20%가 넘는 변동성이 있었습니다.
tqqq는 -50%가 넘는 하락이 5번이 있었습니다.
이 표를 보여드리는 이유는 앞으로 만날 강세장에서조차 쉽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말씀드리기 위함입니다.
tqqq는 정말 예민하게 다루고 열심히 공부해놓고 진입을 해야 하는 상품입니다. 
2010년도부터의 기록만 존재할뿐, 그 이전의 모습을 백테스트로만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 변동성이 있을지 상상할 수 있죠.
따라서 tqqq를 장기투자하는것은 굉장히 어렵습니다.
그래서 저 또한 리밸런싱과 매도를 넣은 이유이기도 하고요.
정리해 드리면 저는 강세장 2년 차에서의 투자계획은 우선 2024년 올해까지는 저의 기준인 4억 원까지의 매수를 그나마 안심하고 진행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제가 접하는 정보를 매우 조심스럽고 예민하게 받아들일 예정입니다.
저는 이제 통계공부한 내용을 다 말씀드렸습니다. 여러분들이 이 지식을 받아들이고 실천하는것은 여러분의 몫이라 생각합니다.
지행합일론 지식과 행위는 원래 하나이므로, 알고 행하지 아니하면 진짜 아는 것이 아니라는 이론입니다.
우리 모두 하락장에서 분할매수해야하는것 알고 있습니다.
그것을 끝까지 실천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반대로 그러지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제가 아는것에 대한 믿음이 적으면, 행동하는 것이 두려워집니다.
지난 하락장에서 매수하다가 포기하여 계좌를 방치하고 다시 돌아오신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여러 이유가 있으실겁니다. 
하지만, 제 생각으로는 그냥 몰랐기 때문입니다. 제대로 공부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모르니까 남의 지식에 의존하고, 남의 매매법에 의존하기 마련입니다.
여러분들은 각자 뛰어난 분야가 있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아주 잘 아는 것은 남의 말을 들을 필요도 없이 잘 해내실 겁니다.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일치하려면, 왜 알아야 하는지, 왜 행해야 하는지를 깨달으셔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시황분석이 아닙니다. 뉴스는 언제나 주가의 후행성으로 나오기 때문이죠.
책 읽는거 귀찮아하시는 분들도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 채널에서 앞으로 영상속에 계속해서 대가들의 책에서 나온 중요문장들을 전달해 드리면서 조금씩 배워나가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영상들을 보시다가 내 몸속에 자연히 터득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사실 멘탈관리는 필요 없습니다. 스스로 알고 있으면 멘털관리가 자연히 되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멘탈관리채널에서 머무르시는지에 대한 마음도 이해합니다. 
제 생각으로는 멘탈관리보다도 태도가 전부입니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가족을 위해 돈을 적극적으로 배우고 돈을 지켜내겠다는 그런 태도 말입니다.
주식으로 용돈벌이를 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마르지 않는 현금흐름을 만들어낼 계획입니다.
여러분들 모두가 완성체로 이 주식시장에서 살아남으셔서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줄 아는 멋진 투자자가 되길 빕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