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의 힘
(21) 질이 좋은 돈은 다른 돈을 잘 불러 모으고 서로 붙어 있어도 흩어지지 않는다. 비정규적인 돈보다 힘이 강해 실제 액면가치와 상관없이 잠재가치척도 주가수익률(PER)이 높다.
- 나도 질이 좋은 돈이란,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을 의미한다는 것에 공감한다. 더욱 깨닫는것은 빠르게 은퇴하고 싶은 나이기에, 언제쯤 일을 그만할 수 있을까 고민하며 엑셀을 켜놓고 은퇴계획을 수시로 작성한다. 그런데도, 배당금이 충분치 않아서 은퇴를 하더라도 작게나마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 돈이 비록 50만원, 100만원일지라도 꾸준히 들어오는 돈은 정말 물리칠 방법이 없다. 나의 배당금이 커질때까지 기다려줄 수 있는 돈이 바로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이고, 일반인들에겐 그 수입은 노동수입뿐이 없다.
(22) 마찬가지로 기업운영도 가장 중요한 것은 현금흐름(CASH FLOW)이다.
- 유튜브에서 현금흐름에 대해서 교육을 받은적이 있다.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책을 지으신 분에게서 유튜브 영상으로 교육을 받았다. 기업운영도, 가게운영도, 집운영도 마찬가지로 현금흐름이 제일 중요하다. 안정적인 현금흐름이 유지된다는것은 삶에서 만족감과 안정감을 느끼게 해줄 수 있다. 그래서 숫자를 좋아하는 나는 모든 돈에 관련한 기록을 하고 있다. 내 머리속에서 나가는 돈과 들어오는 돈이 정확해질때까지 수없이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중이다. 작은 부자들은 괜히 부자가 되는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부자들의 머리속에서는 꾸준히 현금흐름에 대해서 신경을 쓰고 있다. 큰부자들은 사람을 고용하면 되겠지만 말이다. 작은 부자들은 직접 머리속에서 해야한다. 나는 운이 좋다면, 큰부자가 되겠지만, 최소한 작은부자는 되려고 노력중이다.
(23) 비정규적인 수입은 한 번에 몰려온 돈이라 실제 가치보다 커 보이는 착각을 일으킨다. 그래서 자신이 많은 돈을 벌게 된줄 알고 사치하고 함부로 사용하게 돼 결국 모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비정규적인 수입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수입이 생기는 대로 일정한 소득이 나올 수 있는 부동산이나 배당을 주는 우량 주식을 사서 소득을 옮겨놓아야 한다.
- 심리학용어로 과대현상이다. 눈앞에 너무나도 큰 돈이 들어오게 되면, 인간의 뇌는 이성을 잃고 판단력이 흐려져, 감정적으로 그 돈을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그 돈이 어떤식으로 들어온지 모르게되고, 자신의 일시적인 재능이 꾸준히 벌 수 있을 거라는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그 시점이 제일 주의해야하고 또 주의해야하는 시점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할수 있도록, 일정하게 돈이 들어올 수 있도록 자신의 일시적인 기술이나 재능의 가치를 일정하고 꾸준한 자산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 기술과 재능은 오래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25) 규칙적인 수입의 가장 큰 장점은 미래예측이 가능해진다는점이다. 미래 예측이 가능하다는 말은 금융자산의 가장 큰 적인 리스크를 제어할 수 있다는 뜻이다.
- 여러분들은 미래예측이라는 것을 해보았습니까? 당장 10년치를 예산을 짜놓고 운영을 합니다. 그 미래예산을 멀리 내다볼수록 불확실성이 커지고 많은것들을 반영하지 못하겠지만, 한번 그것을 해본 사람과 해보지 않은 사람의 차이는 하늘과 땅차이다. 자신의 현금흐름을 주의 깊게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자는 미래에 대해 대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갑자기 튀어나오는 사건들에 대해서도 내가 편안하게 받아 들일 수 있는, 예민해지지 않을 수 있는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
반응형
'강의,생각 : 돈, 투자, 성공, 부자, 자기계발, 잠재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억 모으는 기간, 1억 모으는데 걸리는 시간 (0) | 2022.09.11 |
---|---|
돈의 끌어당김의 법칙, 리스크란? 리스크에 대한 오해 (0) | 2022.09.11 |
돈의 속성, 은행대출이자를 낼것이냐? 예금복리와 배당금복리를 받을것이냐? (인용문18~20) (0) | 2022.09.10 |
돈의 속성 투자를 누구에게, 어디에 해야할까? (인용문12~17) (0) | 2022.09.08 |
돈의 속성 돈의 노예가 되지 않는 방법, 경제적 자유를 얻는 방법(인용문6~11) (0) | 2022.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