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tqqq를 월투자금 400만원의 100배 금액인 4억원까지 매수하는 해리입니다.
오늘은 농부 또는 어부처럼이라는 부제를 넣어봤습니다. 잘 공부하시고, 소화하시길 바랍니다^^
먼저 좋아요 부탁드리고, 댓글로 소통하면서 더욱 발전적인 채널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매 영상마다 새로운 시청자의 유입이 있어서 당분간 자주묻는 질문 혹은 제 채널의 방향성을 앞부분에 넣으려고 합니다.
보시는것처럼 tqqq 투자계획은 4억원까지 매수, 8억원까지 보유, 8억원이후 매도하려고 합니다. 이것이 현재까지 투자의 기준이 되어있습니다.
시장의 속도는 누구나 예측할 수 없으므로 언제든 빠르게 과열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중간에 시장이 과열이라고 판단될시 리밸런싱을 할 예정입니다.
4억원까지 매수하는 과정에서, 강세장에서는 원칙적으로 일괄매수, 예외적으로 분할매수를 하고, 하락장에서는 원칙적으로 분할매수, 예외적으로 일괄매수를 합니다.
저의 투자선생님은 앙드레코스톨라니, 하워드막스, 켄피셔, 존보글, 찰스엘리스, 토니로빈스 등이 계십니다.
오늘은 지난 영상 3가지에서 제가 tqqq를 투자했을때 말고,
다른 종목들을 투자했을때의 어떤 결과값을 가져왔는지 궁금해서 백테스트를 진행했었는데요.
각각 기술주레버리지편
s&p500, 반도체 레버리지편
개별종목 빅테크편으로 나눠서 영상을 올렸었습니다.
그때가 11월 24일이었습니다. 지금은 약 한달 보름정도가 지났네요.
각각의 섹터들이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어떤식으로 변했는지 차이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백테스트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저는 21년 8월부터 tqqq 매수내역을 일일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 매수내역을 바탕으로 같은 날짜에 다른 종목들을 샀으면 어떤 결과가 있었는지 궁금하여 백테스트를 각각 진행했습니다.
예를들어 tqqq를 21년 8월 5일 276달러치를 샀다면, 애플종목도 8월 5일 종가에 276달러치를 샀다고 가정하는 백테스트입니다.
이런식으로 백테스트를 진행하면 제가 매수한 tqqq의 현재 위치를 충분히 파악하기에 좋고, 저의 투자가 어느정도 진행이 되어가고 있는지 알 수 있기때문에 추이를 지켜보고 있습니다.
그럼 결과값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제가 백테스트해본 종목들은 qqq, qld, tqqq, tecl, fngu, bulz, voo, sso, upro, soxx, usd, soxl, 애플, 마소, 아마존, 구글, 테슬라, 메타, 버크셔해서웨이, 일라이릴리, 비자입니다.
기술주 위주는 파랑색영역이고, s&p500은 분홍색영역, 반도체는 초록색영역, 시총10위권은 살구색영역으로 나타냈습니다.
지난 비교 영상에서는 버크셔해서웨이, 일라이릴리, 비자가 없었는데, 개별주에서 시총10위권까지 다 넣었습니다.
현재까지의 백테스트 수익률은 qqq 23%, qld 37%, tqqq 46%, tecl 52%, fngu 109%, bulz 80%, voo 11%, sso 16%, upro 18%
soxx 26%, usd 79%, soxl 35%
애플 15%, 마소 30%, 아마존 25%, 구글 22%, 엔비디아 116%, 테슬라 13%, 메타 85%, 버크셔 15%, 일라이릴리 83%, 비자 18% 결과값을 도출했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매입한 금액은 1억 7300만원정도로 각각의 종목에 투자를 했다면, 적게는 1억9300만원에서 많게는 3억7600만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보면 순위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필터를 적용하여 순위대로 표시한 값입니다.
왼쪽에는 지난 11월 24일 결과값이었고, 오른쪽에는 1월 7일 결과값입니다.
우선 버크셔해서웨이, 일라이릴리, 비자를 새로 넣은점 참고바랍니다.
순위가 변동이 있는것이 눈에 보입니다.
일라이릴리가 5위로 올라왔네요.
1위에서 4위까지 엔비디아, fngu, bulz, 메타는 그대로입니다.
usd, tecl, tqqq도 일라이릴리를 제외하면 순위 변동이 없습니다.
usd 수익률 증가가 눈에 띱니다. 12% 증가하였네요.
tecl은 오히려 수익률이 감소한 모습입니다. 지난영상에서 tqqq보다 나은 수익률을 보여주어서 깜짝 놀랐었는데요. 제가 그때 추이를 좀 지켜봐야겠다고 한 이유입니다.
tecl은 5%하락했지만, tqqq는 4% 증가하여 둘의 격차가 6%로 좁혀졌습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가 4%나 하락했네요.
애플 역시 6% 하락한 모습입니다.
tecl에는 애플과 마소의 비중이 40%입니다. 따라서 두 종목이 하락하니 tecl이 자연히 하락한 모습이네요.
잠깐 tecl과 tqqq를 비교하여 말씀 드리겠습니다.
파랑색은 tecl이고 빨간색은 tqqq입니다. 2011년부터 백테스트 수익률 변화 차이입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습니다.
tecl은 연평균수익률이 37.24%이고 tqqq 연평균수익률은 38.27%입니다. tqqq가 매년 1%씩 조금 더 올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백테스트 약 13년정도의 자료입니다.
mdd는 tecl이 -75%로 그나마 tqqq -79%보다 방어가 좋은걸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숫자로는 단순 -4%의 차이이지만
아참, mdd가 뭔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의 하락폭을 의미합니다.
다시 돌아와서 mdd -75%는 실제로 tecl 주가가 100에서 25까지 떨어지는것이고 mdd -79%는 tqqq는 주가가100에서 21까지 떨어지는것입니다.
주가가 21에서 25까지 오르려면 약 20%의 수익률이 더 필요한것입니다. 따라서 mdd -75%와 -79%의 차이는 단순 -4%로 보시면 안됩니다.
파랑색은 tecl, 빨간색이 tqqq입니다.
빨간색으로 영역을 친 부분은 tqqq가 더 나은 성과를 보인 해입니다. 둘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른해보다 유달리 차이가 나는 해의 모습이 몇군데 보이네요.
둘중에 종목이 고민이 되신다면, 제 생각엔 둘 다 좋은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수익률의 대부분은 종목선정보다는 자기자신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의 실수에서 수익률을 깎아먹는 일이 생각보다 많이 발생합니다.
종목갈아타기를 하지 않는 이유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아직까지는 그럴 능력도 없습니다.
종종 제 눈이 혹하여, 마음에 욕심이 생기면 다른종목으로 갈아타고 싶을때도 있습니다. 실제로 그런 결과값을 보일때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내가 가진 종목도 언젠가 빛을 발할 날이 오겠지 하고 기다리는 마음도 필요한것 같습니다. 물론 좋은 종목을 고르셨다면 말입니다.
그래서 엔비디아로 갈아타지 않고, fngu로 갈아타지 않고, bulz로 갈아타지 않고 메타로 갈아타지 않고, usd로 갈아타지 않고 있습니다.
이미 좋은 종목을 골랐다면 원하는 목표까지 그 종목의 수익률을 추적하는 인내심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이런 종목을 종종 놓치는 경험을 여러번 한 후에, 시간이 지나서 시장을 바라보는 눈이 조금 더 생기고 능력치가 길러지는게 느껴진다면 포트폴리오를 꾸려볼 생각이기도 합니다만,
현재 tqqq로 목표를 잡고 공부를 해놨기에 8억원까지는 그럴일 없을것 같습니다.
주식에서의 기회는 생각보다 자주 온다고 생각합니다. 시장의 주기와, 종목의 주기에 따라서 고수들은 잘 옮겨다닐 수 있습니다.
돈의 속성 내용을 잠깐 인용하겠습니다.
부자들과 당신의 다른점은 결정의 방향과 속도다. 그들은 재산 형성과정에서 수많은 결정을 잘해서 그 자리에 가 있을 확률이 높다.
부자들은 재산을 모을 때는 농부처럼 행동한다. 깊게 땅을 파고 비를 기다리고 가뭄을 이겨내며 오래 견딘다.
그러나 돈을 벌어 자산이 생기면 어부처럼 돌아다닌다. 이곳저곳에 출몰하는 물고기 떼를 따라 배를 돌리고 바람과 수온을 따라 어디든 그물망을 내린다.
작년에 이곳에서 줄곧 재미를 봤어도 해가 바뀌면 직관을 따라 그물의 위치를 변경한다.
투자 자산의 움직임에 따라 냉정하고 신속한 결정을 한다. 자기의 주관이 명확해서 자산관리인이나 금융사직원들의 의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유능한 어부는 이미 자기 판단에 따라 어디에 그물을 던질지 생각하고 있다.
책에서 말했듯이 자산을 형성할때는 농부처럼 행동하고, 충분히 기다려야 합니다. 그런후에 자산이 만들어지면 그때는 시장을 이리저리 옮겨다녀야합니다.
저는 지금 tqqq를 통해 자산을 형성하고 있는 과정입니다. 그래서 적립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의 tqqq 종목으로 농부의 기간은 적립식, 보유기간, 인출식까지의 모든 기간입니다.
그런 기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종목에서 시장의 주기를 견뎌내고,
이런 종목 저런 종목들이 오르락내리락할때 농부의 마음처럼 기다려서 다른 욕심에 휘둘리지 않는 그 기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기간을 견대내면서 시장과 종목의 흐름을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이 잘 길러진다면, 그제서야 어부로서의 행동이 가능해지는것입니다.
현재 여러분들께서 자산을 형성해놓은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어부처럼 종목갈아타기를 하고 계신다면,
나는 농부가 되는게 필요한지 어부가 되는게 필요한지 한번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
지금 제가 이런 수고스러운 백테스트 작업을 하는 이유도 어부로서의 준비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부동산, 채권, 원자재, 주식 등등 직관을 따라 자유롭게 옮겨다닐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돌아와서, 계속 진행해보겠습니다.
지난 영상에서 11월 24일의 soxl이 참 실망스럽다고 말씀을 드렸었습니다. 그런데 오늘의 값은 35%까지 올랐네요.
지난 영상에서 또 s&p500의 수익률이 처참하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 지수가 상승함에 따라서 upro와 sso가 많이 상승한것을 볼 수 있습니다. upro는 18%가 되었고, sso는 16.84%가 되었네요.
그래도 여전히 voo는 꼴찌입니다. 제가 1배수 인덱스펀드에 이끌려서 지난 약 30개월간 투자를 했다면 가장 꼴찌수익률을 보였다는것입니다.
spy, voo와 같이 1배수 인덱스펀드는 시계열을 20년이상으로 생각한 후에 투자를 하셔야합니다. 그때는 빛을 발할거라 생각합니다.
11월 24일 값을 다시 가져오겠습니다. 지난 영상에서 s&p500지수의 수익률중에서 2배 sso가 가장 높다고 말씀드렸고, upro가 곧이어서 치고 올라갈것 같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그 이유는 상승장을 만나서 3배의 양의복리가 이뤄져서 2배와 3배의 교차구간이 있을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1월 7일 지금 현재 sso보다 upro가 앞서고 있습니다. 이것은 상승장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종종 qld 어떠냐고 질문 주시는분들이 계십니다.
분명한것은 qld도 좋은 종목입니다. 하지만 상승장에서 tqqq만큼의 상승을 안겨줄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바닥에서의 상승률을 비교해보겠습니다.
fngu, bulz, 엔비디아, usd, soxl, 메타, tqqq, upro정도가 10%이상의 수익률 변화가 있네요.
fngu, bulz, 엔비디아, usd,는 그렇게 많이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오르고 있다는것이 신기합니다.
한번 추세를 잡은 종목은 이렇게 계속 상승해 간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로 일라이릴리 차트를 가져왔습니다. 종목추천은 아니니 참고만 해주세요.
일라이릴리는 2022년 하락장을 비껴갔습니다. 눈에 두드러지는 구간이 초록색 화살표구간이지만, 저 기간은 이미 2023년입니다.
어마어마한 상승추세를 보여주고 있어서 놀랍습니다. 나중에 제가 어부가 될때 이런 자료들을 공부해놓은것들이 밑거름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이 이런 종목을 찾아내는것이기 때문입니다.
일라이릴리를 보시면 22년 바닥이 2월 14일입니다. mdd는 무려 -18%뿐이 안됩니다.
하지만, 이런 종목은 자산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좋지않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제가 만약 운이 좋아서 일라이릴리에 투자를 했다면, 계속해서 상승하는 일라이릴리를 보고서 자만에 빠졌을것입니다.
실력이 없이 다음번에 또 대박난 종목을 찾는것은 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제 상식을 깨는것을 하나 배웠습니다. 제가 가졌던 상식은 하락하는 종목을 꾸준히 분할매수하면 상승하는 종목을 사는것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는것입니다.
왜냐하면 계속 상승하는 종목은 계속 비싸지기 때문에 수량을 많이 모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죠.
이 자료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fngu, bulz, 메타, 엔비디아 모두 하락장에서 하락폭이 컸습니다. 그래서 많이 빠진 종목을 사고 반등할 확률이 높은 종목을 사는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일라이릴리의 경우를 보고, 적게 빠지고 계속 오르는 종목도 분할매수를 하면, 꽤 높은 상승률을 보일 수 있겠구나 하고 공부를 하게 됐습니다.
오늘 영상 내용이 꽤 길었는데요. 잘 소화하셨기를 바랍니다. 주말 마무리 잘하시고 행복한 다음주를 보내시기 바랍니다. 사랑합니다.
'tqqq투자하는 해리 유튜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TQQQ 단기조정끝? 저의 리밸런싱기준? (0) | 2024.01.09 |
---|---|
qld 20년이상 장기투자 가능한가? (0) | 2024.01.08 |
tqqq 기대값 65달러~85달러(스왑금리) 주식시장시황 (1) | 2024.01.06 |
1월 4일 오늘 배당금으로 tqqq 매수합니다. (0) | 2024.01.04 |
나스닥100, tqqq 강세장2년차 투자계획 (0) | 2024.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