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에 대하여
23년 4월 12일 생각
한국은행총재, 전문가들 견해로 주식시장에서 올해 연말 전까지 금리인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은 그때까지 매수기회입니다. 그때까지 미국시장은 전고점 근처까지 형성을 할 거고요
특히 내년초에 금리인하를 시작하게 된다면, 전고점을 경신하면서 그 이후로는 완만하게 상승할 겁니다.
앙드레코스톨라니 책을 참조했습니다.
지금도 주가가 싸다고 생각합니다
23년 6월 5일 생각
1. 시장은 이번 6월 fomc에서 동결을 예상한다.
2. 인플레이션은 생각보다 쉽게 잡힐 수 있다. 9.1%까지 치솟았던 인플레이션은 현재 5%~5.25% 금리로도 줄어들고 있다는 게 금리 0.25% 인상의 효과가 우리의 일상생활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느꼈다.
3. 솔직히 내 생각은 5.25%도 오바한것 같지만 보수적인 집단인 fomc는 어쩔 수 없는 결정이라고 생각한다.
4. 기업가들은 이미 빠르게 식어가는 경제를 놓고 판단하여 너무 금리가 높다고 판단을 했지만 말이다.
5. fomc 의장도 3개월을 넘어서 금리를 예측할 수 없다고 앙드레 코스톨라니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6. 금리 점도표도 현재상황에서 2년이상을 예측한 것이다.
7. 중기적으로 금리사이클을 이용하자.
23년 6월 11일 생각
1. 사람들이 관심있어하는 것들은 파장이 크다.
2. 사람들이 관심없는것들은 파장이 적다.
3. 지금 사람들이 관심있어 하는 것은 금리와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다.
4. 지금 사람들이 관심없어 하는 것은 코로나, 은행파산이다. 아무리 작은 은행이 파산해도 큰 영향이 없을 걸로 생각한다.
5. 이렇듯 사람들이 관심있어할때 주가는 요동을 친다.
6. 인플레이션이 어느정도 잡혀가는 시기가 오고, 온 듯만 듯한 경기침체가 나도 모르게 지나가고 나면 대중은 더 이상 cpi에 관심이 없어질 것이다.
7. 그 시기가 언제냐? 24년쯤에는 대중이 관심이 없어질것이라고 생각한다. 어찌됐든 바이든은 대선을 위해서 자신의 임기 내에서 cpi를 2%로 만들었다고 해야 하니까다음 대선 전까지 그렇게 만들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바이든의 임기가 끝나는 시점인 24년에는 금리와 cpi와 경기침체는 주식시장에서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한다. 물가와 싸워서 이겨냈다는 걸 강조할 것이다.그러기 위해서 연준은 cpi 기준치를 바꿔버려서 조작을 하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8. 정리하면
24년 1분기: 3%대에서 물가를 잡았다는 뉴스와 함께 대중은 더 이상 금리와 물가에 대해 점차 관심이 없어진다. 왜냐하면 거의 다 온 거 같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실 끈끈한 물가는 여전히 남아 있을 것이다. 3%에서 2%로 넘어가는 게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4년 2분기 : 하지만 3%에서 2%로 바꾸는 것은 약간의 속임수를 쓸 수도 있다. 대중의 관심이 사라진 시점에서 기준치를 바꿔버릴 가능성이 있다.
24년 3분기 : 대선인 24년 11월 전까지 바이든이 물가와 싸워서 이겼다는 멋진 퍼포먼스로 상대를 이길 수 있다. 특히 트럼프가 쏘아 올린 물가를 바이든이 잡았다. 혹은 경기침체를 이겨냈다.라는 멋진 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하지 않겠는가?
이것과 관련해서 주가의 예측
23년 말 : 미래의 6개월에서 1년 정도 선반영해서 전고점 달성 = 21년의 기업실적회복
24년 : 금리인하와 기업실적으로 주가랠리 이어진다.
25년 : 금리인하와 기업실적으로 주가랠리 이어진다.
왜 금리인하를 천천히 하느냐? 연준은 기대인플레이션을 무서워하고, 데이터에 의해서 움직이려고 할 것이다.
금리인하를 하면 기업환경이 좋아지고, 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그 오르는 폭을 천천히 최대한 길게 가져가려고 할 것이다. 주식시장이라는 개의 목줄을 서서히 풀어버리는 것이 좋다. 연준은 항해사이기 때문에 폭등과 폭락은 피하고 싶기 때문이다. 그렇게 대중들이 알게 모르게 금리인하를 진행할 것이다. 이것이 26년까지 이어진다고 본다. 연준이 목표하는 물가는 2.5%,, 금리는 2.5%이다. 실질이자율이 0%로 만드는 것이다. 이때가 선진국이 가장 성장하기에 좋은 환경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시 경기침체가 오면 주식시장은 폭락할 것이고(돌발악재 30~50%, 아는 악재 20%), 연준은 다시 0%로 금리를 낮출 것이고 또다시 주식시장은 폭등할 것이다.
이게 역사의 흐름이다. 돈의 흐름이다.
'tqqq투자하는 해리 유튜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까지 억눌려있던 매수세가 폭발하나봅니다. (0) | 2023.11.04 |
---|---|
주식시장은 어떻게 반복되는가 켄피셔 (0) | 2023.10.30 |
이동평균선의 의미, 이번 조정은 얼마나 어디까지 올까? (0) | 2023.08.05 |
스트레스 받아가며 공부하며 열심히 매수한 나 vs 매일 정액매수한 나(23.03.16) (0) | 2023.06.19 |
TQQQ(이번 하락장 MDD -82%)를 보유한 내가 긴 하락장에서 평온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 (0) | 2022.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