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qqq투자하는 해리 유튜브

이동평균선의 의미, 이번 조정은 얼마나 어디까지 올까?

by 태도가 전부다 2023. 8. 5.
반응형

이동평균선의 의미

단순 이동평균선의 의미는 주가를 평균값을 내어놓으면 그 이동평균선의 값이 나온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20일 이동평균선의 의미는 20일 동안의 주가의 값을 평균하면 20일 이동평균선의 값이 나온다.

 

횡보 후 폭등한 후에 조정은 어디까지 오는가?

횡보 구간 마지막부터 폭등의 고점까지의 기간길이를 이평선을 대입시켜 보면, 현재 약 3개월이 나온다. 3개월은 60 거래일이니까 즉 60일 이평선을 활용하면 그 기간 동안 달라붙은 매수자들의 매수평균값을 의미한다. 즉, 그곳에서 지지를 충분히 받을 수 있다.

이런 근거로 qqq를 보면, 2023년 4월 25일 전고점(2023년 2월 2일 : 311달러) 지지를 받은 후, 7월 19일(388달러)을 고점으로 약 3개월 정도 상승이 이어져왔다. 즉 이 뜻은 약 3개월 동안 달라붙은 매수자들이 많았기에 폭등이 있었다는것이다.  3개월동안 매수한 매수자들이 공포에 도망가는 때가 바닥이다. 그리고 저 바닥에서 산 매수자들이 차익실현을 한 때가 단기 고점을 형성한다.

 

다음이 내가 생각하는 단기지지라인이다.

갭상승 기준 : 368

8월 4일 기준 볼린저밴드 하단값 :366.96

8월 4일 기준 60일 이동평균선 값 : 360.54 이 값이 유력하다. 1차 매수

 

조정이 제대로 찾아온다면 다음의 값이 조정의 바닥쯤이겠다.

7월 19일 고점 기준 60일 이동평균선 값 : 348.94(약-10%) 2차 매수

 

떠 빠진다면, 갭상승한 값 : 332.64 3차매수

 

 

반응형

댓글